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국제용 대형센터는 왜 안 나오는 것일까?
출처:스포츠서울|2016-09-21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인쇄

허재 감독이 이끄는 한국 남자농구대표팀이 2016 FIBA아시아챌린지 준우승을 차지하고 금의환향했다. 전임감독으로서 첫 발을 뗐고 대표팀 구성과정도 순탄치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성과를 냈다. 하지만 대형센터 없이는 국제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없다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또 한 번 확인했다. 왜 한국에서 대형센터가 나오지 않는 것일까.

한국은 지난 19일 이란 테헤란 아자디 체육관에서 열린 아시아챌린지 결승전에서 이란에 47-77로 완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뒤지는데다 이란 원정에서 치른 경기라 힘든 게 당연하지만 이번 대회에서 이란에 2연속경기 30점 차 이상 대패는 곱씹어봐야 한다. 결승전에서도 묵직한 무게감을 과시한 이란의 하메드 하다디(218㎝)는 이미 한국과의 예선전에서도 무려 15개의 공격 리바운드를 잡아내는 등 23리바운드(20점)를 걷어냈다. 한국은 하다디를 막기 위해 3-2 지역방어의 변형인 드롭존 수비를 쓰며 하다디에 들어가는 패싱라인을 1차 차단하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한국의 결승행을 이끈 이승현(197㎝)과 김종규(206㎝) 등은 이란 골밑에선 보이지 않았다. 한국 농구의 장점인 3점포로 결승까지 왔지만 높이의 큰 간극까지 극복하진 못했다.

빅맨을 대거 보유한 중국과 이란 등을 상대로 나름 선전하면서도 한국은 늘 대형센터 부재의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일단 한국 농구의 근간이라 할수 있는 아마추어 농구에서부터 잘못된 매듭이 시작된다. 아마추어 농구부의 한 감독은 “한국 아마추어는 성적에 너무 연연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러다보니 단기간에 성적을 내려면 선수를 키우는 것보다 선수들의 움직임과 위치를 잡아주는 게 빠르다. 한마디로 짜여진 틀에 선수를 맞추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개인 기량을 키우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라고 아쉬워했다. 또 다른 감독은 “우리 농구부의 경우 키 큰 선수들을 전문적으로 지도해줄 코치가 없다. 전체적으로 키 큰 선수를 키울 수 있는 지도자도 부족한 실정”이라고 안타까워했다. 키 큰 선수들은 어려서부터 발전과 거리가 먼 환경에서 농구에 매달리고 있는 것이다.

경쟁력있는 빅맨의 부족도 기존 장신 유망주의 성장을 더디게 만든다. 경희대를 대학 최강으로 이끈 김종규도 “대학 때 포스트업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나보다 큰 선수도 별로 없었고, 골밑에서 좋은 패스를 받아 득점을 쉽게, 쉽게 올렸다”고 말했다. 골밑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위력적이었던 김종규는 2013년 KBL 신인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LG에 입단한 뒤 비로소 집중적으로 포스트업 훈련을 받았다. 외국인 선수와의 매치업에서도 밀리지 않고 골밑에서 살아남기 위함이다. 최근 아마추어 대회를 독식하고 있는 고려대 전력의 핵 이종현(206㎝)도 마찬가지다. 과거 대표팀 사령탑 시절 이종현과 함께 한 모비스 유재학 감독은 “대학에서 자신보다 작은 선수들과 경기를 하다보니 쉽게 농구를 해왔다. 그러다보니 얌전하게 농구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