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Not Found
- “밴드가 끝인줄 알았죠?” 10년차 원더걸스의 계속된 도전
- 출처:헤럴드POP|2016-07-05
-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 인쇄
원더걸스는 최근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미국에 진출했을 때부터 원더걸스는 모험의 아이콘이 된 것 같다고.
원더걸스가 5일 0시 새 싱글 ‘와이 쏘 론리(Why So Lonely)’를 발표하고 1년여 만에 컴백했다. 앨범에는 동명의 타이틀곡 ‘와이 쏘 론리’, ‘아름다운 그대에게’, ‘스위트 앤드 이지(Sweet&Easy)’까지 총 3곡이 수록됐다.
올해로 데뷔 9주년을 맞은 원더걸스는 데뷔 이후 처음으로 JYP엔터테인먼트 대표 프로듀서 박진영의 곡이 아닌 멤버들의 자작곡을 타이틀곡으로 선정했다. 박진영이 먼저 원더걸스에게 더 이상 원더걸스의 곡을 쓰지 않을 것이니 직접 타이틀곡을 작업하라고 선언했다. 박진영은 이를 ‘탈박’이라고 표현했다.
아이돌 그룹 멤버들 중에도 싱어송라이터가 많은 요즘 시대에 이게 뭐 별 것인가 싶을 수도 있다. 더군다나 아는 사람들은 다 알듯이 원더걸스 멤버들은 꾸준히 곡 작업을 해왔다. 대표적인 멤버가 핫펠트라는 이름으로 작곡가 활동을 하고 있는 예은이다.
하지만 원더걸스의 히트곡을 한 번 떠올려 보자. 데뷔곡 ‘아이러니(Irony)’부터 전 국민적인 히트를 기록한 ‘텔 미(Tell Me)’, ‘쏘 핫(So Hot)’, ‘노바디(Nobody)’, 3년 만에 발표한 새 앨범 ‘리부트(REBOOT)’ 타이틀곡 ‘아이 필 유(I Feel You)’까지 전부 박진영의 작품이다. 대중이 갖고 있는 원더걸스의 이미지와 색깔은 박진영 손에서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그랬던 원더걸스가 수록곡뿐 아니라 타이틀곡까지, 앨범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워 나왔다. 박진영에게도 원더걸스에게도 도전이었고, 어찌 보면 모험이었다. 타이틀곡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부담감에 막바지에는 일주일에 한 곡씩 썼을 정도였다. 그 노력의 결과는? ‘탈박’ 대성공. 음원 공개 직후부터 ‘와이 쏘 론리’는 각종 음원사이트 차트를 점령했으며, 원더걸스 이름과 신곡 제목이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서 내려갈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원더걸스가 이번에 보여준 도전은 ‘탈박’만이 아니다. 선미, 혜림, 유빈, 작곡가 홍지상이 함께 작업한 ‘와이 쏘 론리’는 레게팝 장르의 곡이다. 기존 원더걸스의 색깔인 레트로를 유지하면서도 이제껏 해본 적 없는 레게팝에 도전한 것이다. 중독성 강하면서 다채로운 리듬, “너와 입술이 닿을 때부터 모든 게 달라질 줄 알았는데 별거 없어 넌 다른 게 없어” “뭔가 콩깍지가 씌었는데 너도 나만큼 빠져야 하는데 너만 멋져 내 마음만 다쳐” 등의 위트 있으면서도 시니컬한 가사가 계속해서 듣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곡이다. 이처럼 원더걸스는 처음 도전하는 장르의 곡을 맞춤옷을 입은 듯 완벽하게 자신들의 음악으로 만들었다. 물론 이는 멤버들이 직접 쓴 곡이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원더걸스는 지난해 ‘리부트’ 앨범으로 3년 만에 컴백할 당시에도 밴드로의 변신을 꾀해 화제를 모았다. 레트로풍 멜로디의 댄스곡으로 사랑받았던 원더걸스가 악기를 연주하고 밴드 음악을 들려준다는 사실에 많은 이들이 기대하기도 하고 고개를 갸웃하기도 했다. 하지만 멤버들은 장시간 악기 연습에 매달리며 보다 완벽한 모습으로 대중 앞에 서기 위해 노력했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남기며 밴드 변신을 마쳤다. 트레이드마트였던 쉬운 안무를 기반으로 한 퍼포먼스도 잠시 내려놨다.
이제 데뷔 10년차. 자신들의 뚜렷한 색깔도 있고, 대중이 기대하고 좋아하는 원더걸스의 이미지도 있다. 인기 있었던 기존 스타일을 유지하는 게 끊임없이 도전하는 것보다는 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원더걸스는 자신들의 색을 잃지는 않되 변화를 꾀하며 또 다시 성장했다. 이제 아이돌이라는 말보다 아티스트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
현명하게 ‘아이돌 7년차 징크스’를 견뎌낸 원더걸스의 도전은 현재진행형이다.